신라는 왕에 대한 호칭이 시기별로 변화해 왔다. 먼저 건국 시조인 박혁거세의 경우에는 ‘거서간’이라는 왕호가 사용되었다. 이것은 진한 말로 임금이라는 뜻을 가진 용어였다. 박혁거세의 뒤를 이은 남해왕에게는 ‘차차웅’이라는 왕호가 붙었는데 이는 무당이라는 뜻의 용어였다. 당시 왕한테 제사를 주관하는 제사장의 역할이 주어졌다고 짐작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제3대 유리왕부터는 ‘이사금’이라는 왕호를 사용했는데, 에는 제18대 실성왕까지, 에서 제16대 홀해왕까지 썼다는 각기 다른 기록이 전한다. 그다음에 쓴 왕호는 ‘마립간’인데, 여기서 ‘마립’이란 말뚝을 뜻하는 것으로 왕 아래 신하들이 죽 늘어선 자리를 가리킨다. 따라서 마립간의 최고 지배자의 의미로 쓰인 호칭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선 왕호인 이사금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