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 2

계유정난 발발

계유정난 발발 문종 2년(1452) 5월 18일, 문종이 죽고 단종이 12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수렴청정을 해줄 대비도 없고 영의정 황보인과 좌의정 김종서 등 원로대신들이 대비의 역할을 대신했다. 관리를 임명하거나 파면할 때. 의정부의 삼정승이 대상자의 이름 위해 노란 표시를 해서 올리면 그대로 처결된다 해서 '황표정치'라는 말이 생겼다. 당시 조정은 의정부의 원로대신들과 집현전 출신 학자들로 대치되는 신료 세력에다 수양대군과 인평대군으로 대표되는 종친 세력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원로대신들은 야심만만한 수양대군을 견제할 목적으로 안평대군과 연대했다면, 권력을 틀어쥔 원로대신들에게 반발한 집현전 학사들은 수양대군과 가까이 지냈다. 초기에는 원로대신과 안평대군 세력이 수양대군 세력에 대해 우위를 차지했다. ..

한국역사 2020.11.23

문종의 치세

세종이 재위 32년(1450)에 숨을 거두자, 첫제 아들인 문종이 조선의 제5대 왕으로 즉위했다. 1421년부터 왕세자로 지내 온 29년 동안 문종은 인재를 골고루 등용하고 관대한 언론 정책으로 민심을 살피는 등 부왕인 세종의 치세를 도왔다. 재위 말년에는 각종 질환에 시달린 탓에 업무 부담을 덜고자 하는 세종의 명으로 대리청정까지 하게 되었다. 이에 문종은 부왕을 대신해 5년 동안 국정을 운영하다가 왕위에 올랐다. 한마디로 준비된 왕이었던 문종은 즉위 후에도 세종조의 정책을 일관되게 안정적으로 추진했다. 세자 시절부터 진법 관련 서적인 을 편찬하는 등 군사문제에 조예가 깊었던 문종은 즉위 후 중앙군인 좌군, 우군, 중군 등 3군을 12사에서 5사로 바꾸는 군제 개편을 단행했다. 부대의 수를 줄이는 대신..

한국역사 2020.11.20